•  
  •  
  •  
  •  
  •  
  •  
  •  
  •  
  •  
  •  

the seed

최근 수정 시각: 2023-05-10 22:21:56
공지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개인 위키로 전향합니다.
분류 : 위키 엔진

the seed
종류위키 엔진
주요 언어Node.js
지원 문법나무마크
지원 언어한국어
개발자namu(1)
최신 버전v4.22.4
이슈 트래커 | 더시드위키
목차

1. 개요
2. 특징
2.1. 장점
2.2. 단점
2.3. 권한
2.3.1. grant로 부여가 불가능한 권한
2.3.1.1. developer(추측 (4))
2.3.1.2. hideip(추측 (6))
2.3.2. grant로 부여 가능한 권한
2.3.2.1. 위험도가 높은 권한
2.3.2.1.1. grant
2.3.2.1.2. login_history
2.3.2.1.3. nsacl
3. 여담
4. 사용하는 위키

1. 개요

the seed는 위키 엔진 중 하나이다.

2. 특징

2.1. 장점

  • 문법이 미디어위키 문법보다 간결하기 때문에 익히기 쉽다.
  • 토론이 스레드 형식이기 때문에 직관적이다.
  • 비교적으로 나무위키 같은 대형 위키를 위해 만들어진 엔진이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 강력한 ACL 기능으로 문서 권한 설정하는 것이 다른 엔진에 비해서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 동시에 편집해도 강력한 자동 병합 기능으로 편집 충돌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 권한이 적다면 편집 요청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데(2), 권한을 충족하는 사람이 승인해 주면 기여할 수 있는 신박한 기능도 존재한다.

2.2. 단점

  • 개발자가 namu 하나이기 때문에 파서 취약점을 이용한 반달 등(3)이 일어났을 때 대응이 늦는 편이다.

2.3. 권한

2.3.1. grant로 부여가 불가능한 권한

2.3.1.1. developer(추측 (4))
  • 개발자 권한. 나무위키에서는 사측이, 더시드위키와 알파위키에서는 namu가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권한이다. 따라서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다.
  • 이 권한으로는 위키 설정과 엄청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위키의 기본적인 설정
  • 특정 사이트의 iframe 허용 #
  • 파일과 링크가 일치할 때 외부 링크 아이콘을 생략하는 기능 설정 #
  • 특정 리버전을 보지 못하게 하는 기능 (특정 리비전 숨기기 기능) #1, #2
  • 이름 공간 추가 기능#(5)
2.3.1.2. hideip(추측 (6))
  • login_history로 조회했을 때 ip들을 가려주는 권한으로 추측된다.
  • 아마 알파위키나 더시드위키에서 namu가 가지고 있지 않을까 싶다.
  • 해당 권한은 나무위키 차단 기록에서 흔적만 보인다. 따라서 현재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 2018-05-31 04:58:41 umanle 사용자가 live (사용자 권한 설정) +hideip
  • 2018-05-31 04:57:39 umanle 사용자가 live (사용자 권한 설정) -developer -hideip
  • 2018-05-31 04:56:57 umanle 사용자가 live (사용자 권한 설정) +developer +hideip

2.3.2. grant로 부여 가능한 권한

2.3.2.1. 위험도가 높은 권한
해당 권한들은 위험도가 높은 권한으로 나무위키에서는 사측 관리자가, 알파위키에서는 사무관, 더시드위키에서는 신뢰도가 높은 사용자(7)만 사용할 수 있다고 봐야한다.
2.3.2.1.1. grant
파일:the seed-grant.png
권한 부여 UI
  •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권한이다. 하지만 모든 권한은 아니다. 위의 2개의 권한을 부여하지 못하기 때문.
  • 더시드위키에서는 해당 권한이 있으면 휴지통 네임스페이스의 문서들을 볼 수 있다.
2.3.2.1.2. login_history
파일:the seed-login_history.png
로그인 기록 조회 UI
  • 마지막 로그인 UA(8), 접속한 IP 기록들, 이메일(9)을 볼 수 있다.
  • 나무위키에서는 해당 툴이 부실하다고 느꼈는지 자체 툴을 개발하여 사용한다고 한다.
  • 알파위키에서는 검사관이 해당 권한을 사용하여 기술적 다중계정 검사를 한다.
2.3.2.1.3. nsacl

3. 여담

  • 나무위키 설립자로 알려져 있는 namu, PPPP, kasio 등이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나무위키를 위해 만든 엔진이기 때문에 나무위키가 공개되는 날인 2015년 4월 17일에 공개되었다.
  • 2016년 5월 7일, umanle S.R.L.가 나무위키를 인수하게 되면서 라이선싱 계약을 한 것으로 보인다.(10) 이와 동시에 나무위키를 위한 엔진에서 일반적인 위키 엔진으로 성향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 2019년 9월 v4.13.0으로 업데이트되면서 Vue.js 기반의 Nuxt.js로 템플릿 언어가 변경되었는데, 이때 각각의 스킨의 감성이 사라지고 senkawa의 디자인으로 통일되었다.(11)
  • 편집 창은 iframe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램이 적은 기기에서는 조심할 것을 추천한다.(12)
  • 엔진은 최소 3개(메인, 검색, 파일)로 프로그램이 나누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나무위키에서 사용하는 the seed는 순정 the seed가 아니다. 아무래도 플러그인 기능이 있지 않을까 싶다. 예시로 실시간 검색어 기능은 the seed의 기능이 아니라고 한다. #
  • 더시드포럼이 생긴 이유는 나무위키와 알파위키에서 동시에 문의를 받다보니 겹치는 문제와 둘 다 학인하기 귀찮아서(...)라고. #
  • admin 권한이 있으면 라이선스 페이지에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는데, 업데이트가 적용된 시간이 아닌 패치가 올라온 시간을 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13)
  • 가끔 이전 페이지로 돌아오면 title의 위키 이름이 undefined로 표시될 때가 있다.

4. 사용하는 위키

  • 운영 중인 위키
  • 나무위키
  • 더시드위키
  • 알파위키
  • 접속이 불가한 위키
  • 더 시드: namu가 만든 딥웹 위키. 2021년 이후로 접속이 안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R18위키: 처음 만들어졌을 때 알파위키의 데이터를 이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 야한 것을 위한 위키였던 것으로 보인다. @ 아카이브된 글들을 보고 싶다면 이쪽으로.
(1) 이전에는 PPPP, kasio도 개발했다고 한다.
(2) 단, 편집 요청 ACL도 충족되지 않을 경우, 편집 요청도 불가능하다.
(3) 예시: 2021년 include 반달 사건
(추측) (4) (6) 추측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5)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은 DB도 수정해야 하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된다.
(7) the seed 엔진을 사용하는 위키의 관리자를 했던, 하는 사용자가 해당된다.
(8) 가장 최근 접속만 볼 수 있다. 이유는 UA는 쉽게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보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
(9) UA와 마찬가지로 바꾸기 전의 이메일은 볼 수 없다.
(10) 이것 때문에 umanle S.R.L.가 알파위키 서버의 도움을 주고 있다는 우스갯소리가 존재하는 것이다.
(11) 분류 디자인, 토론 스레드 로딩 디자인 등.
(12) 탭을 왔다 갔다 몇 번 하면 나라가 있을 때가 많다...
(13) 사측이 업데이트를 늦게 하는 것이라고 발언한 것과 #, 나무위키, 더시드위키, 알파위키의 v4.21.2 시간이 모두 같은 것을 보면 말이다.

모든 글은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가 별도로 명시된 경우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한마음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은 저작권 위반입니다.